Chapter 0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 DataBase System)이란?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
-다양한 목적의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가 된다.
2.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2-1. 스키마
스키마(Schema)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
-스키마의 예
고객번호 INT |
이름 CHAR(10) |
나이 INT |
주소 CHAR(20) |
2-2.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외부 단계(External level), 개념 단계(Conceptual level), 내부 단계(Internal level)로 나눈다.
- 외부 단계 : 개별 사용자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고 표현.
- 개념 단계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관점을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표현.
- 내부 단계 : 데이터베이스를 디스크나 테이프 같은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표현.
-각 단계별로 다른 추상화(Abstraction)를 제공하면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2-3. 데이터 독립성
-데이터베이스를 3단게 구조로 나누고, 단계별로 스키마를 유지하며 스키마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정의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y)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데이터 독립성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중요한 장점이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과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개념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
2-4. 데이터 사전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이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곳을 데이터 사전 또는 시스템 카탈로그(System catalog)라고 한다.
-참고해야되는 스키마, 사상 정보, 다양한 제약조건 등을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data about data)를 의미해 메타 데이터(Meta data)라고도 한다.
3. 데이터 언어
데이터 언어의 종류와 용도
- 데이터 정의어(DDL) :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데이터 조작어(DML) : 데이터의 삽입·삭제·수정·검색 등의 처리를 요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데이터 제어어(DCL) : 내부적으로 필요한 규칙이나 기법을 정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